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hellScript
- divide and conquer
- greedy algorithm
- Algorithm
- algorithm paradigm
- linux
- Dynamic Programming
- Computer Architecture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
Kepler-442
마크다운에 이미지 업로드 하는 법마크다운 형식(markdown, .md)으로 노트와 블로그를 작성하다 보면 고민이 하나 생긴다.이미지는 어떻게 처리하지??이전에 옵시디언을 사용하던 때에는 이미지를 붙이면 자동으로 imgur로 변환해주는 플러그인이 있어 편했지만, vim으로 에디터를 옮긴 뒤에는 많이 불편해졌다. 쓸만한 플러그인도 보이지 않았다.내가 선택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데,로컬로 이미지 저장한 뒤 삽입 : 저장소 관리가 어렵고, 이미지를 옮길 때 링크를 전부 수정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imgur : 이미지 업로드 과정이 귀찮은 것 말고는 단점이 없다.imgur을 이용해 이미지를 넣기로 했다.과정이미지를 개인 로컬에 저장한다.imgur이 날아갔을 때를 대비해서 이미지를 따로 저장한다. 카테고리별로 폴더..
라즈베리파이 로컬로 접속하기결론은 망했어요.나중에 나가서 라즈베리파이를 쓸 일이 생길지도 모르니 네트워크없이 유선 연결 하는 방법을 기록해놓자.기본적인 방법라즈베리파이 Imager 설정라즈베리파이 OS Imger를 이용해 SD 카드에 OS를 올린다. ssh 설정과 사용자 및 암호 설정을 한다.config, cmdline 수정SD 카드를 PC에 꽂고 에디터를 이용해 두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config.txt 파일의 맨 끝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한다. dtoverlay=dwc2cmdline.txt의 rootwait 바로 뒤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한다.modules-load=dwc2,g_etherPC와 연결PC와 라즈베리파이를 USB-C로 연결한 뒤 ssh를 이용해 접속한다. 윈도우는 putty를 ..
Yabai 세팅 (.yabairc)# Layout & Mouse Modifieryabai -m config layout bspyabai -m config mouse_modifier cmd# Paddingyabai -m config top_padding 45yabai -m config bottom_padding 20yabai -m config left_padding 10yabai -m config right_padding 10yabai -m config window_gap 20# Focused Window Opacityyabai -m config window_opacity onyabai -m config active_window_opacity 1.0yabai -m config normal..
회색 + 빨강에 미친 사람의 조합사용 중인 것들terminal : oh-my-zsh + powerlevel10k + kittyIDE : astronvimTools : yabai + skhd, sketchybar (기본 설정에 색 변경 + 커스텀 플러그인)Mission Controlterminal, 나중에 tmux도 써봐야겠다. 아직 kitty가 제공하는 기본 윈도우가 편하다.Brave Browser, 써본 크로뮴 브라우저 중에서 젤 좋다. 웹 서핑 + 공부용.스케줄 관리, 캘린더 + 슬랙메신저들Themekitty : 커스텀, 여기서 만들었다.neovim(astrovim) : 256_noir, vim 전용 테마인줄 알았다.나중에 dotfile 올려야지~